굴은 제가 겨울마다 빼놓지 않고 즐겨 먹는 음식 중 하나인데, 올해도 역시 맛있게 굴을 먹고난 뒤 노로바이러스 증상으로 며칠동안 심하게 고생을 했습니다. 식중독에 걸리지 않도록 음식에 대한 깊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식중독이 무엇인지, 식중독 예방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식중독의 원인
식중독은 유해 미생물이나 독극 물질로 오염된 식품을 섭취해 감영형이나 독소형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크게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 요소로 구분됩니다. 최근 발생한 식중독의 대다수가 일부 식중독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한것이라는 통계자료도 있습니다. 그리고 주요 식중독의 원인 세균과 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캠필로박터 제주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황색 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순입니다.
식중독 예방 방법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기본적으로 손이나 앞치마, 도마, 칼 등의 조리도구 등을 깨끗이 관리하여 교차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식재료를 잘 씻어 오염된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상하기 쉬운 식품은 식품에 오염되어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잘 자라지 못하도록 냉장, 냉동보관합니다. 조리할 때에는 철저하게 가열하거나 끓여서 오염되어있는 미생물을 사멸시키면 됩니다.
손을 씻을 때는 30초 이상 비누를 이용하여 깨끗이 손을 씻어야 합니다. 채소, 과일, 생선 등 식품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깨끗이 씻어줍니다. 잎채소는 큰 용기에 물을 받아 1~5분 정도 담가 두었다가 흔들어 씻기를 두번 정도 반복하면 잔류농약이 제거됩니다. 칼이나 도마, 프라이팬, 조리대 등을 세척하고 소독해야합니다. 도마를 사용할 때 흐르는 물에 10초 이상 헹구면 도마 표면의 세균 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칼이나 도마같은 조리도구는 주방세제와 수세미를 사용해 씻은 뒤 건조시킵니다. 오래된 도마는 표면이 긁히거나 미세한 틈이 많이 생겨 세균들이 자리잡게 되므로 새것으로 교체해줍니다.
식품의 내부까지 철저히 가열하여 익혀주고, 국물이 있는 음식의 경우 팔팔 끓여줍니다. 오염된 식재료를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줍니다.
올바른 손 씻는 방법
1. 수돗물로 손을 적신 뒤 수도꼭지를 잠그고 비누를 손에 묻혀 거품을 냅니다.
2. 깍지를 끼고 손바닥과 손가락 사이를 꼼꼼히 비벼줍니다.
3. 손바닥으로 손등을 문지르고, 오른손 왼손을 번갈아 반복해줍니다.
4. 손톱으로 반대편 손바닥을 살살 꼼꼼히 비벼줍니다. 반대 손도 똑같이 반복해줍니다.
5. 흐르는 물로 양손을 잘 비벼 헹굽니다. (최소 30초 이상 비누로 거품을 내어 씻어야 효과적으로 세균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6. 종이 타월로 손의 물기를 잘 닦아내고, 교차오염을 막기위해 사용한 타월로 수도꼭지를 잘 잠가 줍니다.
주요 식중독 원인균의 특징과 예방법
노로바이러스의 특징은 사람 장관에서만 증식합니다. 자연환경에서 장시간 생존이 가능하고, 사람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식품,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에 의해 2차 감염됩니다. 특히 겨울철에 많이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두통 등이 있습니다. 예방법으로는 오염된 해역에서 생산된 굴 등 패류의 생식을 자제하고 어패류는 가능한 85도에서 1분 이상 가열 후 섭취해야 합니다.병원성 대장균의 특징은 10~100마리의 소량으로 베로독소를 생산하여 식중독을 유발합니다. 심할 경우 용혈성 요독증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환자나 동물의 분변에 오염된 식품이나 오염된 칼, 도마에 의해, 다져진 음식물 등에 의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발열, 구토 등이 있습니다.
예방하기 위해서는 칼, 도마 등의 조리기구를 구분하여 사용해 2차 오염을 방지하고 다진 고기류는 75도(중심부 온도)에서 1분이상 가열해야 합니다. 살모넬라균의 특징은 토양, 물에서 장기간 생존하고, 건조한 상태에서도 생존합니다. 사람이나 가축의 분변, 곤충 등에 의해 널리 분포됩니다. 달걀 및 식육류와 그 가공품, 분변에 직간접적으로 오염된 식품에 의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복통, 설사, 구토, 발열 등이 있습니다.
살모넬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달걀, 생육은 저온(5도 이하)에서 보관하고, 조리에 사용된 기구 등은 세척 후 소독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합니다. 또한 육류의 생식을 자제하고 75도에서 1분이상 가열합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방미인 호박의 다양한 매력을 알아보자. (0) | 2025.03.01 |
---|---|
제로 콜라는 안심하고 마셔도 될까? 식품 첨가물에 대하여! (0) | 2025.02.27 |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이 우리 몸에 가장 중요한 이유 (0) | 2025.02.26 |
무기질은 생명과 건강 유지에 필수 영양소! (0) | 2025.02.24 |
비타민을 매일 섭취해야 하는 이유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