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철에는 얼어붙은 몸을 녹이기 위해서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면 추운 날씨에 경직된 근육과 관절의 이완에 도움이 되고 혈액 순환의 촉진과 심리적 안정, 숙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뜨거운 물로 오랫동안 샤워를 한다면 오히려 피부 건조증을 유발하거나 모발의 건강을 해치는 등 여러가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로 샤워하는 것의 부작용
뜨거운 물은 피부 각질층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각질층은 피부 면역 작용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피부 장벽' 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피부 장벽 위에는 산성막 이라는 얇은 막이 있는데 이 막은 모공에서 분비하는 피지와 땀에 함유된 아미노산으로 구성됩니다. 피지는 수분을 보호하는 기름진 물질입니다.
산성막이 피부 장벽을 튼튼하게 유지하고 해로운 박테리아로부터 피부 장벽을 보호하는데,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할 경우 피지의 일부가 제거되면서 건조함을 유발하고 원래의 구조를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구조가 바뀐 피부 장벽은 수분이 빠져나가기 쉬운 상태로 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또한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면 피부 뿐만 아니라 모발에도 비슷한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우리 신체의 거의 모든 부위 피부에는 피지를 분비하는 샘이 있고, 얼굴과 두피에도 많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두피에서 분비된 피지는 머리카락의 가장 겉면 층을 감싸고 있는데, 피지가 우리 모발을 촉촉하게 유지해 주고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뜨거운 물로 모발을 헹구게되면 피지 일부가 제거됩니다. 따라서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면 얼굴과 두피의 피지가 벗겨져 모발이 건조해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피부와 모발의 유형이 지성인 사람의 경우 주 1~2회 보다 더 자주 고온 샤워를 즐기는 것이 큰 무리는 없지만 습진이나 건선처럼 뜨거운 물에 닿으면 악화될 수 있는 질환이 있는 사람이거나 모발과 피부가 건조한 편인 사람의 경우 고온 샤워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 건강에 도움을 주는 행동
샤워를 할 때에 가능하면 너무 뜨겁지 않은 미온수로 하는것이 좋고, 샤워 기간도 적당히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이상적인 샤워 소요 시간은 약 5~10분 입니다. 두피가 지성이거나 매일 운동을 하는 경우, 헤어제품을 매일 사용하는 경우, 땀을 많이 흘렸다면 땀의 염분이나 다른 분비물들이 모공과 모낭을 막아 트러블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매일 머리를 감는 것이 좋습니다. 샴푸 자극이 염려가 된다면 하루는 샴푸를 사용하여 감고 다음날은 물로만 씻어도 염분이나 피지 등이 어느정도 씻겨 내려가기 때문에 두피를 보호해 줄 수 있습니다. 물로만 감는 것이 찝찝하다면 저자극 샴푸를 사용하고 머리 감을 때 두피를 너무 세게 문지르지 않도록 합니다. 세정제의 종류 역시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자극이 적고 향이 없는 세정제가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라우릴황산나트륨 같은 자극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세정제는 피부 장벽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특히 세안이나 샤워 후에 피부의 수분이 급격하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물기를 제거한 후에는 가급적 빨리 보습제를 바르도록 합니다. 피부가 많이 건조하다면 로션보다 보습 효과가 더 좋은 연고나 크림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보습제 구매시 성분표에서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바셀린 등과 같은 보습 성분을 확인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날씨가 추울 때는 더운 날에 비해 갈증을 덜 느끼게 되므로 겨울철 수분 섭취가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수분의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충분한 물 마시기를 습관화 해야합니다. 체내에 수분이 부족하면 피부 건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하루에 8잔 이상의 물을 마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외에도 수분이 풍부한 과일이나 채소를 섭취하고 단백질이 풍부한 닭고기, 콩류,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과 견과류 등을 꾸준히 섭취하는 등의 노력 역시 피부 건강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걀보다 단백질이 더 풍부한 음식 BEST 7 (0) | 2025.03.20 |
---|---|
고혈압 만큼 치명적인 저혈당과 저혈압 (0) | 2025.03.20 |
고혈압에 좋은 칼륨이 풍부한 식품 추천 (0) | 2025.03.19 |
소아 청소년 비만, 적극적인 예방이 중요하다 (0) | 2025.03.18 |
우리 몸의 갯벌 간, 간을 지키는 방법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