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양배추가 대표 장수 식품으로 손꼽히는 이유

by heesosick 2025. 3. 11.

양배추는 어떤 채소인가

양배추는 고대 그리스 시대때부터 즐겨 먹던 채소로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서양 3대 장수식품 중 하나입니다. 현재는 시설재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중에서 언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채소이고, 양배추의 품종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푸른 양배추, 적양배추, 방울 다다기 양배추, 사보이 양배추 등이 소비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푸른 양배추의 소비량이 가장 많고 주로 샐러드용이나 볶음 요리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적양배추는 샐러드 채소, 즙 등 제한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지만 최근 그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보이 양배추는 최근 제주도 지역에서 시험 재배에 성공해 유통되고 있습니다. 방울 다다기 양배추 역시 최근들어 인기를 끌고 있는데, 그 이유는 방울토마토처럼 작은 크기이지만 일반 양배추의 2배 이상의 영양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양배추의 영양성분

양배추는 부위별로 영양소의 함유량이 다릅니다. 겉잎에는 비타민A와 철분, 칼슘이 풍부하고 하얀 속잎에는 비타민B군과 비타민C의 함량이 높습니다. 양배추의 영양성분은 양배추 속으로 들어갈수록 높아지고, 심지쪽에는 특히 위장에 좋은 비타민U 성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심지 부분이 단단하고 질기다는 이유로 대부분 버려지는데, 심지를 살짝 찐 후 분쇄기에 갈아 주스로 마시면 좋습니다. 이렇게 갈아서 마실 경우 사과나 오렌지를 함께 넣으면 양배추의 비린 맛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양배추의 효능

양배추는 위 건강을 돕는데 큰 효력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암 예방이나 혈액 순환, 해독작용, 변비를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미국 미시간주립대의 조사에서 주3회 이상 양배추를 먹은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약 70% 이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양배추의 비타민U 성분이 위궤양 치료에 효과적이고, 위장관 내 세포의 재생을 돕는 역할을 하며 식이섬유가 많아 장의 운동을 활발하게 해줍니다. 실제 쥐를 통한 실험에서 양배추를 먹였을 때 위 점막 회복률이 약 46% 향상되었으며 출혈이나 상처 등의 염증이 완화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좋은 양배추 고르는 법

양배추의 모양이 동글동글하고 겉잎이 연한 녹색을 띠는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양손으로 눌렀을 때 쉽게 들어가는 느낌이 없이 단단하고 묵직한 것을 고릅니다. 잎이 시들거나 상처가 있고 벌레 먹은 것은 피합니다. 또한 양배추를 쪼갰을 때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는 현상이 나타나거나 노란색으로 변한 부위가 많은 것은 좋지 않은 양배추입니다.

양배추 보관방법

양배추를 실온에 보관할 경우 쉽게 건조되고 색깔이 변하게됩니다. 따라서 바깥쪽 잎 2~3장을 떼내어 양배추의 몸통을 싸서 보관하면 건조하거나 갈변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잎보다 줄기가 먼저 썩거나 가운데 심지 부분의 수분이 날아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먼저 줄기를 잘라낸 후 물에 적신 키친타월을 이용하여 줄기 부분을 채우고 랩으로 싸서 보관하면 싱싱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합니다. 장시간 보관해야 할 경우 사용 용도에 맞게 미리 손질한 후 비닐 팩에 소분하여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냉동보관한 양배추는 국거리나 볶음용으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양배추 손질법

양배추는 병충해에 약한 채소이기 때문에 재배할 때 농약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세척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겉잎을 제거한 후 베이킹소다를 푼 물에 1차로 세척하고 식초를 탄 물에 약 1~2분 담근 다음 흐르는 물에 2차 세척하면 잔류 농약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양배추에 함유된 영양소 대부분은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생식으로 즙이나 주스를 만들어 먹는 것이 좋고, 가열 조리를 해야 할 때는 살짝 볶거나 데쳐서 사용합니다. 양배추는 밥이나 죽, 면요리 뿐만 아니라 국, 샐러드, 볶음요리, 조림요리 등 활용할 수 있는 메뉴들이 매우 많습니다. 또한 귤류나 사과, 청포도 등 신맛이 나는 과일들과 잘 어울립니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성분의 항암효과와 비타민C가 풍부한 자몽이 만나면 이중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