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외이도염의 발생 원인과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

by heesosick 2025. 3. 25.

'외이'는 어느 부위인가?

외이는 귀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인 귓바퀴와 외이도를 합쳐서 부르는 말로, 외이는 이개와 외이도로 구성됩니다. 외이도는 귓구멍에서 고막까지 피부로 덮여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외이도는 자정능력이 있으며 외이도 피부에서 떨어지는 조직 파편, 즉 귀지를 귓구멍을 통해 저절로 배출하고 산성을 유지하며 자연면역 물질을 분비해 세균의 번식을 억제합니다.

 

외이도염이 발생하는 이유는?

외이도의 산성과 정상 세균들이 외부 병원균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외이도가 축축하거나 습한 환경에 놓여 있을 때, 외이도에 상처가 발생하였을 때, 세균의 감염 등으로 외이도염이 주로 발생합니다. 최근 현대인의 필수품인 이어폰을 장기간 끼고 있거나 보청기, 헤어스프레이, 진균 감염, 국소 약물 등 다양한 물질과 접촉하여 발생하기도 합니다.

외이도염 증상

증상으로는 귀가 심하게 가렵거나 귀 안쪽이 붉어지고 귓바퀴를 당기거나 귀를 눌렀을 때 통증을 호소합니다. 귀가 가려울 때 귀 안쪽을 면봉 등으로 후비게 되면 붓기가 더욱 악화되어 통증이 심해지고 면봉이 들어가기 힘들 정도로 외이도가 부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외이도염을 염증 전기, 급성 염증기, 만성 염증기의 세 가지 임상 단계로 구분합니다. 염증 전기에는 외이도 피부의 부종이 나타나며 국소적 외상 또는 습한 환경에 의해 유발된 땀샘의 후속 폐쇄가 추가 외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급성 염증 단계는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구분하는데, 경증의 급성 염증은 맑고 무취의 분비물이 있는 홍반과 부종성 외이도가 특징입니다. 중증 급성 염증 단계에서는 외이도가 분비물로 막히고 심한 통증을 느끼게되며 주변부가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외이도염의 경우 특히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데 잦은 물놀이나 습한 기후 등이 그 원인이 됩니다. 수영장 이용 후 귀의 통증을 호소하면 급성 외이도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오염된 물이 외이도의 보호막 역할을 하는 지방을 제거해 포도상구균이나 녹농균 같은 세균 감염에 취약하게 합니다. 따라서 귀에 물이 들어갔을 때 그대로 방치하면 이명으로 번지거나 외이도염 및 급성 중이염까지 걸릴 수 있으므로 물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이도염의 치료

외이도 및 고막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이경 또는 귀 내시경을 사용하여 귀 내부를 직접 들여다봅니다. 외이도 상태가 붉게 변했거나 부어있는 상태, 분비물 등이 있다면 외이도염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드문 경우로 분비물이 많고 고막까지 염증이 확대되는 등의 소견이 보인다면 청력검사를 통해 중이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의 노인이 극심한 이통을 호소하는 경우 악성외이도염(두개저 골수염)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악성외이도염의 경우 약화된 면역 체계와 당뇨병을 가진 노인들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항생제 내성균의 두개저뼈감염으로 생명에도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심각한 병이기 때문에 고령의 면역억제 환자라면 귀가 가려워도 만지지 말고 외이도에 이상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도 반드시 이비인후과 외래 진료를 받아야합니다. 외이도염 치료는 일반적으로 외이도를 우선 깨끗하게 소독하고 귀 안에 넣는 항생제나 먹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국소 항염증 약물은 외이로 투여하는 것이 편리하고, 전신 부작용이 없이 병변에 높은 농도로 약물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선호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간혹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소염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귀 안에 넣는 항생제를 사용할 때에는 어지럼증을 예방하기 위해 너무 차가운 온도보다는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외이도염 예방법

외이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귀를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영이나 목욕 시 귀에 들어간 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빠져나오거나 체온으로 인해 자연 건조가 되기도 하므로 귀에 물이 들어가는 상황을 무조건 두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조금 더 빨리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면봉으로 귀를 파는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귀지는 외이도를 보호하고 산성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므로 면봉이나 귀이개로 무리하게 제거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