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122

발의 형태만 보아도 발의 건강을 알 수 있다. 발 건강의 중요성발은 우리 몸의 가장 아래에 자리잡고 있지만, 맨 아래에 있다고 해서 중요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전신의 체중 부하를 견디는 곳이 발입니다. 때문에 발의 건강을 위해서 발 전체에 체중을 골고루 분산시켜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성인 대부분이 잘못된 보행 습관과 서 있는 자세의 문제로 인해 발의 앞쪽이나 뒤쪽 등 어느 한 부분에 무리하게 체중을 싣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나쁜 습관이 지속되면 일직선으로 곧게 지탱되어야할 발이 중심을 잃고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무너지게 됩니다.발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이상적인 체중 분산은 뒤쪽 50~60%, 중간 약 10~15%, 앞쪽 25~30% 입니다. 발의 기능은 충격의 흡수와 분산입니다. 발을 처음 바닥에 짚을 때, 발 뒤꿈치가 발바닥을 지지하고 .. 2025. 3. 10.
치매를 유발하는 호모시스테인을 조심하자!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이란 무엇인가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은 체내 대사과정을 거쳐 아미노산으로 분해됩니다. 이 과정에서 일종의 독성 물질인 호모시스테인이 만들어집니다. 호모시스테인이 혈관 내벽에 미치는 영향은 수도관 안에 녹이 슬고 부식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치매유발자인 호모시스테인이 산화제 역할을 하여 혈관을 노후시키는 것입니다. 축적된 호모시스테인은 혈관 내피세포를 자극해 활성산소를 생성하고, 혈관 확장의 역할을 하는 산화 질소를 불활성화 시켜 혈관을 수축 상태로 만듭니다. 또한 혈압과 혈전을 조절해주는 인자인 프로시타시클린 생성을 억제하여 혈관 벽에 손상이 생기도록 합니다. 그리고 구리나 콜레스테롤과 결합해 뇌세포를 손상시키기도 합니다. 호모시스테인의 수치만 잘 관리하여도 치매는 물론 뇌.. 2025. 3. 9.
폐 건강에 좋은 습관과 좋은 호흡방법 좋은 호흡 VS 나쁜 호흡사람이 살아있음을 확인하는 바이털 사인의 기본이 바로 호흡입니다. 호흡에는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좋은 호흡과, 병을 부르는 나쁜 호흡이 있습니다. 호흡을 보면 병까지 알 수 있습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음식으로부터 얻는 에너지이고 다른 한가지는 코와 피부를 통한 호흡에서 얻어지는 기 에너지 입니다.좋은 음식을 잘 먹고 잘 소화해야 건강하듯이 호흡 역시 건강하고 장수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단순하게는 좋은 호흡은 코로, 나쁜 호흡은 입으로 하는 호흡입니다. 코를 통해 호흡을 하면 차가운 공기나 나쁜 공기가 코를 통해 폐로 이동하기 때문에 폐가 건강해집니다. 하지만 입으로 호흡하게 되면 건조하고 차가운 공기를 .. 2025. 3. 8.
양파가 뇌졸중에 탁월한 식품이라고? 양파의 효능 침묵의 살인자, 뇌졸중이란 무엇인가?전세계 60세 이상의 노인들 사망률 1위는 바로 뇌졸중입니다. 특히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이 되면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자의 수가 30% 이상 늘어납니다. 사망에 이르지는 않더라도 발병 후에는 반신불수, 언어장애 등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기도 합니다. 그렇기때문에 뇌졸중은 발병하기 전부터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드시 우리 몸에서 보내는 두통이나 마비, 떨림 증상 등의 경고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뇌졸중은 흔히 노인들만 조심하면 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요즘은 젊은 세대에서도 뇌졸중 발병 위험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질환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삶이 풍요로워진 만큼 직장인의 스트레스는 점점 늘어나고 있.. 2025. 3. 8.
고혈압의 증상과 고혈압에 도움이 되는 생활 습관 고혈압이란?고혈압이란 수축기와 이완기의 압력이 상승된 소동맥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하며, 지속적으로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정상범위는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모두 120/80mmHg 미만입니다. 고혈압의 종류에는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이 있습니다. 본태성 고혈압의 원인은 유전적인 소인과 과다한 염분섭취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으로는 경구 피임약 사용, 신장혈관이나 신실질 질환, 내분비 장애, 대동맥 협착증, 뇌종양 및 뇌염과 같은 신경계질환, 정신장애, 임신, 혈관내 용량의 증가, 화상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그 밖의 원인으로는 비만이나 포화지방의 과다섭취, 과다한 염분 섭취, 흡연, 과다한 음주 및 스트레스 등이.. 2025. 3. 7.
유해 활성산소가 우리 몸에 발생하게 되는 원인 유해 활성산소가 발생하는 이유물질을 이루고 있는 분자는 구조적으로 양자와 그 주위를 싸고있는 전자로 나뉩니다. 전자는 제각기 짝을 이루고 있을때 안정적입니다. 어떤 원인으로든 짝을 잃었을 때 그 분자는 안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다른 전자를 찾게됩니다. 이런 불안정한 상태의 분자를 유해 활성산소(free radical) 이라고 합니다. 이 유리기는 공해의 부산물일 뿐만 아니라 대사작용의 부산물로 체내에서 생성되기도 합니다. 인체에 해로운 종류의 유리기를 제거하지 못할 때 인체는 유리기로부터 공격을 당하게 됩니다. 특히 과격한 운동을 하게되면, 전자 전달 연쇄과정을 통해서 유해 활성산소가 만들어집니다. 특히 운동을 할때에는 활동근에 요구되는 산소의 소비가 증가하게 되어 유해 활성산소가 증가하지만 우리 신체.. 2025. 3. 7.